Search
📄

[2차] eyeway

Created
2024/03/21 07:59
Tags
[데이터 셋 구축 및 모델 실험을 통해 분류 기준 성능 최대 3배 이상 향상]
customer 시각장애인들이 지하철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지하철 내 길 안내 앱을 제작하였습니다.
company 적합한 데이터셋이 없었기에 50%도 안나오는 성능때문에 데이터셋을 직접 구축 해야했고, 실시간성이 보장되어야 하여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 2초 내로 실행하게 하는 작업들은 3개월 이내에 완료해야했습니다.
competitor SOTA 모델을 비롯하여 3개의 모델에 대해 학습 시간, 제한된 환경에서의 구동 등을 기준으로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YOLOv8 모델을 선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최소한의 성능을 내기 위해선 데이터를 어떤 식으로 구축해야하는지를 분석하여 1달간 직접 수집한 이미지 1000여장에다가 인터넷에서 수집한 이미지를 Roboflow를 통해 데이터셋을 구성하였습니다.
place 분류해야할 클래스가 많았기에 사용자 상황에 따라 데이터셋을 세 개로 나누어 총 3개의 가중치를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또한 각 데이터 셋에 맞는 데이터 증강 기법 또한 달랐기에 최적의 조합을 찾는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세 개의 가중치 파일을 안드로이드에서 처리하는데 속도가 너무 느렸기에 멀티 쓰레딩 방법을 제안하여 해결하였습니다.
product, price 그 결과 평균적인 정확도가 3배 가량 향상되었으며, 특정 클래스의 경우 정확도를 90%까지 향상시켰습니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전체 플로우 실행 시간을 4초대에서 2초대로 50% 감소시켰습니다. 최종적으로 안대는 낀 상태에서 이 프로그램을 통해 지하철 이용을 성공하였고 해당 프로젝트에 대하여 교내 대회에서 수상하였습니다.
promotion 그리고 해당 내용을 한국 시각장애인협회에 공유하면서 마무리를 지었습니다.
place의 근거가 competitor에서 제시되고 있는가?
Competitor의 내용이 Place와 섞여 있는 게 문제인 것 같아요. 이 문장들을 분해해서 각 문단으로 재배치하면 될 것 같습니다.
+ 조사한 내용의 레퍼런스가 어떤 매체에 있었는지 명시해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논문이면 논문, 책이면 책)
SOTA 모델을 비롯하여 3개의 모델에 대해 학습 시간, 제한된 환경에서의 구동 등을 기준으로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YOLOv8 모델을 선정하였습니다. 그리고 최소한의 성능을 내기 위해선 데이터를 어떤 식으로 구축해야하는지를 분석하여 1달간 직접 수집한 이미지 1000여장에 인터넷에서 수집한 이미지로 Roboflow를 통해 데이터셋을 구성하였습니다.
[Competitor]
~~을 근거로 SOTA 모델을 비롯하여 3개의 모델에 대해 학습 시간, 제한된 환경에서의 구동 등을 기준으로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최소한의 성능을 내기 위해선 데이터를 어떤 식으로 구축해야하는지를 분석했습니다.
(...중략…)
[Place]
모델의 지표를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YOLOv8 모델을 선정하였습니다. 또한, 1달간 직접 수집한 이미지 1000여 장에 인터넷에서 수집한 이미지를 추가한 후 Roboflow를 통해 데이터셋을 구성해 최소한의 성능을 확보했습니다.
이 이후에 기존의 place 문단을
글자수에 맞게
적절히 배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한 개의 사례에서 ‘한 개의 메세지’를 말하고 있는가?
1.
프로젝트 진짜 열심히 하신거 같아여 .. 근데 메인 액션(?) 이라고 판단되는게 “데이터셋 구축 + 모델 구동환경 세팅”인거같은데 너무 많은 액션들이 들어가서 용재님이 엄청난걸했는데 이게 잘 부각이 안되는거같습니다.
2.
뭔가 전체적으로 내용ㅇ르 수정한다기보다는 문장배치(?) 정도만 수정하면 하나의 경험에서 하나의 메세지가 좀더 명확하게 드러날 거같아요
문장이 최대한 ‘짧은 형식’을 취하고 있는가?
1.
별건 아니지만, Place 문장 세개가 모두 비슷한 형식이라 살짝 어색해보입니다..! ‘~~했기에 ~~을 했습니다’ 라는 형식의 문장이 세 번 반복되다보니 그런듯 합니다
또한 각 데이터 셋에 맞는 데이터 증강 기법 또한 달랐기에 최적의 조합을 찾는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
또한 각 데이터 셋에 맞는 최적의 데이터 증강 기법 조합을 찾는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런식으로 바꿔주면 어떨까 생각을 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