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에서 ‘배경’은 아주 중요합니다. 대체로 하나의 사건이 독립적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배경’에 대해 재미있게 작성해주세요, 사진을 꼭 하나 이상 사용합시다.
[ 이 일은 어떤 배경에서 생긴 일이 였나요 ? : 사진을 1개 이상 첨부해주세요]
자율주행 파트에서 아쉬웠던 점은,
완전 같은 예시는 아닌데 약간 이런 느낌으로, 계획에 대한 일정 강제력이 부족했었음. 이런걸 해결 하기 위해서 사실 스크럼을 하는건데, 스크럼을 해도 그 다음으로 미뤄지는 느낌들.. 뭐가 부족했고 뭘 시도하려고 하는지를 알았어야 했는데 그게 좀 잘 안됐던것 같았음.
그래서 ! 결론은 회고의 중요성을 아주 잘 느꼈다.. 스크럼과 별개로 양식에 의한 회고를 일정 주기마다 했어야 했었다고.. 판단합니다. 그랬다면 용집으로 장비를 올리는 판단을 훨씬 더 빨리 했을수도 있었을 듯 함.
[ 어떤점에서 이 이벤트를 즐거웠다고/배울 수 있었다고../더 잘 할 수 있었다고/ 더 해보고 싶다고 생각했나요 ?]
사실 장비를 용집으로 빨리 올려야겠다는 판단을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아있음. 그런 판단을 했다면 뭐가 달라졌을까?
[ 만약 또 같은 상황에 닥친다면 이 이벤트에 어떻게 더 잘 대응 할 수 있을까요? ]
회고를 통한 최적의 아이디어와 빠른 합의를 통한 행동력 !
KPT 를 실행해보고 싶다는 생각.
Keep , Problem, Trying
환경 상 재민석의 Problem 에 대해 제대로 회의를 하지는 못했었지만, 다음 프로젝트에는 각자가 가지고 있는 해결이 힘든 문제에 대해 제대로 공유하고 같이 그 자리에서 해결해보려는 노력이 꼭 필요할 것 같음. 당장의 노동력을 들이지 않더라도,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능력이 있는 사람은 그것도 문서로 정리해서 공유해준단다 ! ㅋ ) 를 공유해주는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