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시작하는 것보다, 어떻게 끝내는지가 중요하다" - Nelson Mandela
너무나도 잘 끝낸 나머지 만델라는 결혼을 세번이나 했다. 잘 끝내야 다시 잘 시작 할 수 있다.
성과 : 프로젝트에 긍정적으로 기여한 업무 결과
프로젝트 영향력은 프로젝트에 공헌한 성과에 비롯한다. 하지만 “AA 를 유지 보수 했음”, 혹은 “ ~~ 기간 동안 스프린트를 N 개 했음 “ 따위들은 성과 로 증명 할 수 없는 내용들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나의 일을 성과 로 증명해낼 수 있을까 ?
•
내가 한 작업으로 클릭율 혹은 방문율이 몇 퍼센트 올랐나 ?
•
내가 한 작업으로 CPC / CPM 이 줄어들었나 ?
•
어떤 아이디어를 냈고, 그것이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이게 왜 성과 가 될 수 있었는지 ?
•
퍼포먼스를 어떻게 얼마나 향상 시켰는지 ?
프로젝트에 기여 할 수 있는 방법들은 수도없이 많다. 나에게 주어진 일 일수도 있고 나에게 주어지지 않은 일이지만 실의에 빠진 팀장을 다독이는 것 또한 성과가 될 수 있다. 그런데, 그것을 어떻게 나타낼 것인지에 대한것은 창의력이 필요하다.
때문에 소통을 잘 한다는 것은, 내가 한 일과 무엇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다른 사람들이 알게하여 성과 로 표현 할 줄 안다는것이다. 그런데, 매번 당신이 무엇을 했는지 다른 사람들을 불러놓고 장황하게 이야기 할 수 는 없는 노릇이다. 그렇기 때문에 문서화를 통한 소통이 중요하며 글쓰기가 중요한 소통 능력이라는 것이다.
굳이 여기서 글쓰기가 어떻게 중요한것인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도록 하겠다.
우리는 KPI 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KPI 에 사용되는 지표들에 대한 자료니 성과에 적용 할 때 활용하려면 해라!
META 성과의 기준
메타에서는 아래와 같은 네가지 영역에서의 성과를 정리한다고 한다. 성과의 기준은 본인과 본인이 속한 팀이 합의하에 만드는 것이지만 우리는 아래의 툴을 사용해보자. 아래 4개의 영역중에서 골라서 본인의 성과를 작성해보자.
예시
•
[ 소통 툴 적용 Notion ][ 리더십 ][ 의사소통 툴이 카카오톡 하나이던 동아리에 Notion, Google Drive 를 계몽시켜 주었다. ]
•
[ Network Seminar ] [ 피플 ] [ 외부네트워크, 내부네트워크 , 가상네트워크, 서브넷 마스크 개념을 헤메 던 동료들에게 육군에서 배웠던 네트워크 세미나를 했다. ssh 와 lidar 에서 더이상 헤메지 않게 된 듯 하다. ]
프로젝트 영향력 | 엔지니어링, 서비스 전반 | 피플 | 리더십 |
방문율, 마일스톤 달성, 퍼포먼스향상, 아이디어제시(제안서) | 코드 퀄리티, 테스트, 문서화, 코드 리뷰 수준, 개발 가이드라인 공헌, 이슈 해결 속도
기타 개발자로서 역량이 드러난 성과 | 동료를 도와줌, 세미나를 통한 지식 공유, 멘토링, 파티, 복잡한 이슈를 정리해서 공유, 협업을 잘한다 | 프로젝트 리딩
기술에 대한 가이드라인제시
아이디어 제공 |
회고, 내일 조금 덜 아프기 위해
이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 여러자료들을 찾아봤지만, 내일 조금 덜 아프기 위해 라는 말이 가장 인상깊었다. 우리는 대체로 제대로 학습하지 않은 일들에 대해 똑같이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제대로 된 Lessons Learn 을 하자.
회고에서 우리가 가져야 할 것은 올바른 마음가짐이다. 이곳은 마음을 열어도 안전한 곳 이다.
•
미워하지 않는다 : Blame 이 아니라, Grow together 라고 한단다. 실제로 우리는 누구를 미워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더 잘 말해줄 수 있는것이다.
•
다양함 : 본인의 생각은 항상 편협적이며, 부족하다. 누가 맞고 틀리고의 영역이 아니다. 그들의 생각조차 배워가는 시간이다.
•
구체적임 :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직설적인 표현을 사용해주세요, 두루뭉실하게 작성하거나 어렵게 설명하지 맙시다 우리.
회고의 도구는 정말 많은것이 있지만, 이번에는 4Ls 를 사용해보자.
4Ls 는 Like , Learned(Lessoned), Lacked & Longed 를 의미하고 매우 유명하고 자주 사용된다. 단순함 이 참석자들에게 큰 장점이고, 시간을 정해두고 해야 한다.
Liked : 팀이 프로젝트 기간동안 즐겁게 했던 건 무엇인가요 ? 특별히 기대이상으로 좋았던 것은요?
Learned : 팀이 프로젝트 기간 동안 배울 수 있었던 새로운 것은 무엇인가요 ? 기술적인것이 될 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
Lacked : 프로젝트 기간 동안 더 잘 할 수 있었던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
Longed For :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할수는 없었지만, 했으면 하고 바랬던 것이 무엇이 있을까요 ? 마찬가지로 기술적인것이 될수도 있고, 비 기술적인것이 될 수도 있습니다.
보드 한개 당 15~20분 정도 시간을 갖고 작성하자 위에 작성한 성과를 활용해도 좋다.
Board
Search
프로젝트 기간 동안 동안 여러분의 동료는 어떤 사람이였나요?
용재
민석
재민
태정
Jaemin To All
올해도 다시 한번 유재민 인복은 정말 좋구나라고 느끼게 된 한 해인것같습니다.
어쩜 일면식 하나 없던 4인이 올해 처음 모여 이러한 성과 아닌 성과를 거둘 수 있었나 생각해보면 매사 감사하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것 같습니다.
인격적으로든 기술적으로든 많이 배울 수 있었던 프로젝트로 만들어 주신것 같아 감사하다는 말 다시 한번 전하고 싶습니다.
앞으로 그대들의 친구이자 동료이자 좋은 형, 동생, 친구로써 자랑스러운 존재가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할것이며 그대들 또한 저에게 그러한 존재가 되기를 간절히 응원하겠습니다.
조만간 #후문에서 술 한잔 찐하게 합시다.